코칭
부하의 자신감을 기르는 대화
” 이리 온 “
뭔가를 붙들고 일어서기 시작한 아이에게 부모가 이렇게 말을 할 때 는 부모 나름대로 ” 이 아이는 걸을 수 있다 ” 는 확신이 있기 때문이다.
아이의 자 전거에서 보조바퀴를 떼어 낼 때도, 처음으로 자녀가 독립할 때도, 부모는 자식의 능력을 믿고 있을 것이다.
그리고 인간은 이렇게 도전의 기회를 받아들이면서 성장해 간다.
한편, 새로운 업무를 진행하기에 앞서 상사는 크게 두 기준을 가지고 부하 직원을 판단한다.
하나는 ” 아마 이 부하는 이 일을 못할 것이다 ” 이고, 또 하나는 ” 이 부하이라면 이 일을 틀림없이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” 라는 생각이다.
마찬가지 로 새로운 업무를 맡게 된 부하 역시 두 가지 생각이 머릿속에 떠오른다.
바로 ” 이 일은 나한테는 좀 무리일 텐데 ” 와 ” 최선을 다하면 잘 할 수 있을 거야 ” 라는 생각 이다.
상사의 판단도 부하의 생각도 다른 사람들은 알 수 없는 마음속 대화다.
그 런데 부하를 믿고 긍정적인 기대를 말로 표현하면 부하는 도전하고자 하는 의욕을 갖게 된다.
부하도 믿어주는 상사 앞에서 의욕을 말로 표현하면 용기를 내어 시작할 수 있다.
부하는 ” 한계를 뛰어넘는 자신의 모습이 보고 싶다 ” 는 마음.
상사는 ” 한계를 뛰어넘는 부하의 모습이 보고 싶다 ” 는 마음.
대화가 두 마음을 겹치면 거기에 용기와 도전이 생겨난다.
* * *
부하의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 상사가 할 수 있는 일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다.
부하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이끈다.
부하의 성장을 촉진시킨다.
우선 첫 번째는 부하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도와 자신잡을 갖게 하는 접근방 식이다.
” 나에게도 이 성과를 낼 수 있었다 ” 는 자신감을 에너지로 삼아 새로운 일에 도전할 수 있 게 한다.
일상적인 업무에서 ” 도전 〜 성과 〜 자신감 〜 도전 ” 이라는 선순환의 구조를 만드는 방법이다.
두 번째는 스스로의 성장을 실감케 함으로써 부하의 자신감을 높이는 접근 방식이다.
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은 생존이다.
그리고 스스로의 생존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 자신을 성장시키려는 욕구는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욕구의 하나다.
그러므로 ” 도전 〜 성장 〜 자신감 〜 도전 ” 이라는 순환을 상사는 준비할 필요가 있다.
자신감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성과와 성장, 이 두 가지 중 어느 하나라 도 결여되어서는 안 된다.
성장하고는 있지만 성과가 없다거나, 우연히 성과 를 내긴 했지만 성장하지 않은 경우, 이 두 경우 모두 자신감을 갖게 하기는 힘 들다.
정리하면 아래 사이클이 원활하게 순환해야 인간은 안정적으로 자신감을 높여 갈 수 있다.
부하의 의욕을 도전로 바꾸다.
부하의 작은 성장을 깨닫고 말을 걸다.
부하의 작은 성과를 함께 기뻐하다.
부하의 자신감을 기르고 다음 도전을 주다.
대화는 서로의 자신감을 기르다.
부하뿐만 아니라 상사의 자신감도.
” 자신감을 기르는 대화를 만들어낸 사람 ” 의 자신감은 마음에 깊이 자리잡다.
대화는 인간이 만들어낸 위대한 발명이다.